[레이븐2 꿀팁] 혼돈의 탑 시즌 6 파밍 목표는 '영웅 고점 장비'

지난 7월 16일, '레이븐2' 혼돈의 탑 시즌 6이 막을 올렸다. 9월 3일 새벽 4시 59분에 종료하기에, 아직은 초반부로 봐도 좋다. 이번 시간은 새 시즌 혼돈의 주화 파밍 전략을 준비했다. 최종 목표는 혼돈의 주화를 수집해 영웅 고점 장비를 마련하는 것이다. 파밍 방법부터 순서대로 정리했으니 하나씩 확인하자.

혼돈의 탑, 주화를 우선할 시 버프 세팅은 미루자

▲ 버프를 바꾸자니 주화 파밍량 손해가 따라온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혼돈의 탑 시즌 6은 7월 28일 기준으로 약 37일 남았다. 매일 입장권을 3장 지급하므로, 예상되는 참여 기회는 약 111회다. 9월 3일은 계산에 들어가지 않는다. 레이븐2는 새벽 5시를 기준으로 날짜가 넘어가기 때문이다. 전날인 9월 2일과 한 묶음으로 봐야 한다.

포인트는 '고층 등반'와 '주화만 모으기'다. 조금 복잡하니 천천히 하나씩 설명하겠다. 먼저 고층 등반과 주화 모으기는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다. 스펙과 실력이 좋을수록 높은 층에 도달하기 쉽다. 그렇게 깃발을 꽂은 뒤에는 반복 플레이로 주화를 챙기면 된다.

고층 등반을 노릴 경우 선택의 갈림길에 선다. 버프 세팅을 위해 보상이 적은 층에 입장권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주화 파밍량 손해이고, 원하는 버프가 빨리 나오지 않을 시 손해가 점점 길어진다. 자연스레 버프 세팅과 주화 파밍은 서로 충돌하기 쉽다. 손해를 메꾸기 위해 추가 입장권 구매도 고려해야 한다.

▲ 반복 보상이 같은 구간 내에서는 버프 세팅에 신경써도 OK (사진: 국민트리 제작)

주화 파밍을 우선한다면, 버프 세팅은 미루거나 우선도를 낮추자. 주화 손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다. 이때 원하는 버프를 얻기 위해 낮은 층을 돌아도 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반복 클리어 보상으로 지급하는 주화가 소탕권을 쓰려는 층과 같은 곳이다. 레이븐2 혼돈의 탑은 약 5층 단위로 주화 파밍량을 나눈다. 예를 들어 1~5층은 25개, 6~10층은 33개, 11~15층은 42개다. 만약 15층에 도달한 유저라면, 버프를 위해 12, 14층을 반복 플레이해도 괜찮다. 그보다 낮은 층은 굳이 버프를 바꾸러 입장하기 애매하다.

참고로 레이븐2 상점에서 혼돈의 탑 추가 입장권을 판매한다. 가격은 100 크리스탈이다. 거래소를 통해 충분히 벌 수 있는 양이다. 그러나 추가 입장권은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기본 입장권과 달리 클리어 실패 시 기회가 날아간다. 따라서 소탕권이나 100% 클리어 가능한 층에서 사용하는 게 기본이다.

▲ 그렇다고 마냥 싼 것도 아니니 버튼 클릭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사진: 국민트리 제작)

혼돈의 주화, 앞으로 얼마나 파밍할 수 있지?

▲ 남은 기간 동안 같은 구간 반복 플레이를 전제로 계산했다 (자료: 국민트리 제작)

앞으로 파밍할 혼돈의 주화 수량을 가늠해 보자. 먼저 레이븐2 혼돈의 탑 시즌 6을 개최한 건 7월 16일이다. 7월 28일 기준으로 13일 지났다. 매일 지급하는 기본 입장권으로 쭉쭉 등반했다면, 39층에 도달 가능한 시간이다. 현재 천장은 40층이니 모든 층에서 최초 클리어 보상을 거두는 거나 마찬가지다. 그러니 '남은 기간에는 반복 클리어 보상을 파밍 가능'하다고 가정하겠다. 

이제 차트를 확인하자. 기준은 두 가지다. 이번 기사 발행일 7월 28일부터 계산하는 게 첫 번째, 시즌 종료까지 같은 구간 파밍하는 게 두 번째다. 이를 토대로 남은 기간에 얻는 혼돈의 주화 총량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다. 6~10층 구간부터 연성 재료 영웅 재창조의 구슬 마련에 필요한 양이 모인다. 앞서 낮은 구간 버프를 포기하길 추천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37일 파밍 총량이 줄어들고, 상점 선택지가 줄어든다.

▲ 소탕권은 이럴 때 쓰자 (사진: 국민트리 제작)

각 구간에서 클리어 시 버프를 얻는 층도 표시했다. 표시한 층은 주화 파밍에는 조금 미묘하다. 클리어 시 버프를 변경하기 때문이다. 만약 원하는 버프가 나온 뒤에는 다시 방문할 필요가 적다. 여기서 애매하게 걸리는 게 6층과 16층, 26층이다. 각 구간의 첫 번째 층이다. 버프 걱정 없는 파밍을 위해서는 7, 17, 27층을 클리어해 사냥터로 삼는 게 베스트다.

버프를 주지 않는 층에 도달하기 힘들 경우 소탕권을 해당 층에 모두 사용하자. 소탕권으로 클리어 시 버프를 변경하지 않는다. 혼돈의 탑 추가 입장권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소탕권이 없을 시 한 단계 낮은 구간에서 파밍하자. 물론, 수익을 위해 버프를 무시해도 좋다. 

7월 30일 업데이트, 영웅 도안 조각 가격에 주목

▲ 영웅 도안 획득 콘텐츠 추가를 예고했다 (사진출처: 공식 커뮤니티)

레이븐2 혼돈의 주화와 소탕권은 시즌 종료 시 일괄 삭제한다. 추가 입장권은 한동안 최상급 1회 소환 선택 상자로 바꾸도록 제작식을 제공했다. 후자는 어디까지나 약간의 애프터 케어이므로, 주화 파밍의 기본은 시즌 동안 열심히 벌어 다 쓰는 것이다. 장비 마련에 필요한 상품은 희귀/영웅 재창조의 구슬과 마수의 심장석 조각인데, 지금은 마수의 심장석 조각에 주목해야 할 시기다.

이유는 7월 25일 공개한 레이븐2 개발자 노트 15편이다. 7월 30일 대규모 업데이트를 한다. 이때 길드 재화 영광의 주화를 조정한다. 영광의 주화를 길드에 납부할 시 수량에 비례해 신규 재화 단결의 증표를 제공할 계획이다. 단결의 증표를 통해 영웅 무기/방어구/장신구 제작 도안과 전설 등급 장비 제작 재료를 구매한다.

포인트는 영웅 제작 도안이다. 올해 레이븐2는 영웅 장비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고점 장비 제작식을 추가 중이다. 해당 업데이트도 그 일환으로 풀이된다. 여기서 갈림길은 열심히 파밍한 혼돈의 주화로 마수의 심장석 조각과 영웅 재창조의 구슬 중 무엇을 구매하는지 여부다.

▲ 영웅 고점 장비는 영웅 도안과 마수의 심장석을 2개씩 요구한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구매할 아이템은 7월 30일 업데이트 후 영웅 도안 가격을 보고 결정한다. 기준은 유저의 사정마다 다르겠지만, 여기서는 '혼돈의 탑 네 시즌 동안 1장을 구매 가능한가?'를 기준 삼길 추천한다. 이유는 마수의 심장석이다. 영웅 고점 장비 제작에는 2개 필요하고, 재료는 마수의 심장석 조각 총 20개다. 그런데 마수의 심장석 조각은 한 시즌에 5개만 판매한다. 그래서 네 시즌이 걸린다.

참고로 레이븐2 혼돈의 탑 한 시즌은 약 6, 7주 동안 진행한다. 월간 영웅 도안 조각 제작식 리롤 기간이 겹친다. 제작식을 이용할 시 영웅 제작 도안 조각을 종류별로 40개 모은다. 네 시즌은 영웅 도안 완제품 제작 도전에 충분한 시간이다. 두 콘텐츠를 병행해서 도안과 마수의 심장석으로 영웅 고점 장비 제작을 노리자.

반대로 네 시즌 안에는 힘들 것 같다면, 영웅 재창조의 구슬 수집을 추천한다. 구매 후 남은 혼돈의 주화로 마수의 심장석을 수집한다. 장비 제작 대신 연성으로 좋은 장비를 노린다. 물론, 미리 모아둔 마수의 심장석 조각과 영웅 도안이 있을 시 일정을 유동적으로 조정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