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븐2 꿀팁] 알뜰살뜰 모은 크리스탈로 이건 꼭 구매하자
그동안 '레이븐2' 국민트리는 크리스탈 파밍 노하우를 전한 바 있다. 거래소에 등록할 매물과 팔릴 확률이 높은 상품 확인 방법이 예시다. 크리스탈은 거래소 이용과 상품 구매, 편의 기능 등 여러 분야에 쓰인다. 꾸준한 파밍은 당연히 필수다. 물론, 차곡차곡 모으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구슬이 서 말이어도 꿰어야 보배 아닌가? 이번 시간은 크리스탈을 꼭 투자해야 하는 콘텐츠를 정리했다.
오프라인 모드 효율을 위해 가방, 창고 공간 확보

레이븐2는 매일 오프라인 모드 12시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게임에 접속하지 않아도 사냥할 수 있다. 효율적인 던전과 필드 사냥, 이벤트 미션 진행에 꼭 필요한 기능이다. 충전 시각은 매일 새벽 5시다. 여기에 걸치도록 시간을 짜면, 이론상 12시간 이상 연속 사냥도 가능하다. 이론인 이유는 가방 공간의 한계 때문이다. 가방에 남은 공간이 없을 시 캐릭터가 공격 불가 상태에 빠진다.
절전 모드 설정과 사냥 장소 선정을 통해 아이템 파밍량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는 있다. 자연스레 '일반 등급 장비를 줍지 않으면 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거래소에서는 일반 장비가 꿀 매물일 때가 많다. 사냥터의 드랍 테이블을 잘 보고, 설정해야 손해를 보지 않는다. 이것저것 따졌을 때 가방 공간을 넓히는 게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당연히 창고도 함께 늘리는 게 베스트다.
가방, 창고 확장 비용은 1회 50크리스탈이다. 투자 우선도가 높은 건 전자다. 최소한 200칸 이상으로 넉넉하게 늘리는 걸 추천한다. 확장 후 사냥을 통해 추가 확장 여부를 결정하고, 실행한다. 최대한 오프라인 모드를 오래 사용하는 게 베스트다. 반대로 아이템 자동 획득 등급 옵션을 자주 활용할 경우 가방 확장에 쓸 예산을 덜어도 좋다.
창고는 가방 공간을 확보할 정도만 늘려도 충분하다. 정 크리스탈이 부족하거나 아끼고 싶은 유저는 서브 캐릭터를 사용하자. 레이븐2는 같은 서버의 모든 캐릭터가 창고를 공유한다. 귀찮은 건 떠넘기는 것도 방법이다. 다만, 확장한 가방 공간은 공유하지 않으니 조심하자.


가성비 좋은 컬렉션 아이템은 빨리 사서 스펙 업

아이템 컬렉션도 크리스탈 투자가 필요하다. 레이븐2 육성의 기본은 내실 다지기를 통한 저점 보완이다. 필요한 스탯은 다 챙기는 게 베스트다. 여기서 주목할 건 '수집품' 항목이다. 장비도 소모품도 아닌 아이템을 요구한다. 컬렉션 전용이니 얻는 족족 등록하자.
컬렉션 아이템은 대개 지역마다 몇 개씩 하나의 테마로 묶는다. ○○화로, 퍼즐 조각, 편자처럼 말이다. 대개 레벨이 낮은 지역 아이템일수록 시세가 저렴하다. 레이븐2에서 이런 아이템이 늘 그렇듯 개별 가격이 저렴한 건 여러 개를 묶어 떨이로 판매하는 게 일반적이다. 아직 완료하지 않은 항목이 있을 경우 싸게 사서 빨리 채우는 게 효율적이다. 겸사겸사 컬렉션 달성 보상으로 스탯, 육성 재화를 얻는다.
구매할 때에는 항목 완료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우선한다. 유료 재화를 소모한 이상 확실하게 이득을 얻어야 한다. 싸게 여러 항목을 채울 매물이 꿀 매물이다. 떨이를 찾자. 남은 물건은 거래소에 다시 올리거나 분해해 다른 육성 재료로 만든다.


그럼 반대로 아이템 1개당 가격이 비싸거나 떨이로 올라오지 않는 건 어떨까? 아이템 컬렉션 수집품 항목 완성에는 많은 아이템이 필요하다. 하나 구매한다고 끝이 아니다. 희귀 제작 도안을 모아 영웅 제작 도안 조각 마련에 보태거나 장비, 제작 재료를 구매하는 게 이득이다. 장비는 아이템 컬렉션보다 성장 기여도가 훨씬 높다.
장비 투자로 핸들을 꺾었을 시 거래소 몬스터 도감 매물을 검색한다. 목표는 달성 보상인 희귀, 영웅 제작 도안 조각이다. 거래소 상품 검색 및 구매 기준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다. 크리스탈을 아끼고 싶은 유저는 사냥으로 직접 파밍하면 된다. 첫 번째 문단의 오프라인 모드 팁을 응용하자.
600크리스탈 정도는 비상금으로 쟁여두자

지금까지 정리한 팁은 소량의 크리스탈로 빨리 이득을 얻는 정보다. 꾸준히 거래소에 아이템을 팔 경우 라이트 유저도 따라 할 수 있다. 벌이가 넉넉한 유저는 비상금으로 약 600크리스탈을 유지하길 추천한다. 영웅 성의, 사역마 획득 시 리롤을 위해서다. 해당 아이템은 획득 시 바로 사용할 수 없다. 대신 일주일의 리롤 대기시간을 준다. 마음에 들지 않는 아이템일 시 1회 정도는 리롤해도 손해가 아니다.
다만, 무조건 600크리스탈을 남겨두라는 뜻은 아니다. 그동안 소개한 것처럼 쓸 때에는 써야 레이븐2를 즐길 수 있다. 거래소 평균 벌이를 가늠하고, 일주일 내에 복구 가능할 정도는 마음 놓고 써도 OK다. 복잡한 계산이 싫은 유저는 '영웅 성의, 사역마 배포 일정에 맞춰 600크리스탈을 모은다'라고 생각하자. 리롤 비용을 확보한 뒤 소환서를 사용하면, 제한 시간에 쫓길 필요가 없다. 스크린 샷이 좋은 예시다. 평소 크리스탈을 저축하지 않았고, 덕분에 제때 리롤을 하지 못했다. 2025년 수영복 성의, 언젠가 얻고 말 거야!

-
https://bloom97.tistory.com아달2025년 5월 18일9
-
길드 챔피언십 성황리 종료winnerisland2025년 4월 29일8
-
신규 콘텐츠 사역마 각성 추가 예정, 길드 챔피언십 개최돌겜하는꼬마돌2025년 4월 21일9
- 1마비노기 모바일
- 2ROBLOX
- 3세븐나이츠 리버스
- 4열혈강호: 귀환
- 51리니지M
- 65전략적 팀 전투
- 72오딘: 발할라 라이징
- 82승리의 여신: 니케
- 91나이트 크로우
- 101컴투스프로야구V25
-
뱀피르Netmarble
-
세븐나이츠 리버스Netmarble
-
레이븐2Netmarble
-
승리의 여신: 니케Level Infinite
-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Netmar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