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븐2 PUBLISHER: NETMARBLE

[레이븐2 꿀팁] 쉽게 이득 보는 길드·연성 생활 노하우

/ 1

이번 '레이븐2' 공략 주제는 길드와 연성 생활 팁이다. 길드는 레이븐2의 핵심 공동체이고, 길드 활동을 유도하는 이벤트가 자주 등장한다. 이벤트 과제는 정해진 틀이 있어, 공략법을 알아두면 두고두고 도움이 된다. 연성은 이벤트 과제로 등장하는 빈도가 적지만, 고레어 장비를 얻는 창구로 익숙하다. 꾸준한 이용을 위해 파밍, 콘텐츠 일정 관리가 필수다. 연성 시 저레어 장비를 만들어 이득을 누리는 방법이 있는데, 본문을 통해 확인하자.

Q. 길드 미션, 소수 길드가 쉽게 클리어할 방법은 없나?
A. 길드원이 2명 필요, 초보자 2명만 도와줘도 OK입니다.

길드 미션 달성을 어렵게 하는 과제 (사진: 국민트리 제작)
▲ 길드 미션 달성을 어렵게 하는 과제 (사진: 국민트리 제작)

11월 5일 새벽, 레이븐2 '쟁탈전 기념 스페셜 미션'이 끝난다. 길드 콘텐츠를 플레이해 미션을 해결하는 행사다. 핵심은 이런 이벤트가 꾸준히 등장하고, 임무 구성이 비슷하다는 점이다. 주로 길드 출석이나 기부, 길드 던전 완료하기 등을 제시한다. 그중 '길드 주간 업적 1회 달성'처럼, 소규모 또는 라이트 유저 길드는 해결하기 막막한 과제가 있다. 다행히 해결책이 있으니 일단 알아두자.

먼저 길드 주간 업적 부문은 얼마 전 편한 공략법을 찾기 위해 간단한 실험을 한 바 있다. 가장 쉬운 목표는 '균열 대청소Ⅰ'이다. 한 주 동안 균열 보스를 50회 처치하면 클리어다. 실험 결과 초보자 2명만 구하면, 3명이서 균열 보스를 50회 처치할 수 있다. 초보자 2명은 벨루시아 균열 보스에 참여할 정도만 육성해도 좋다. 기존 길드원 한 명이 매일 6회 풀로 참여하고, 남은 2명은 점심과 저녁에 벨루시아 균열 보스 공략에 참여한다. 이렇게 할 경우 클리어에 5일이 걸린다.

만약 3명 모두 균열 보스를 풀 타임으로 뛸 수 있다면, 3일 만에 해결된다. 소규모 또는 라이트 길드에서 활동하거나 길드원의 스케줄이 심하게 꼬였을 경우 이렇게 임무를 해결하자. 잠시 친구에게 '친구야, 일주일만 같이 레이븐2를 하자!'라고 SOS를 하는 요청하는 것도 방법이다.

특히 솔로 활동을 선호하는 유저는 참고 (사진: 국민트리 제작)
▲ 특히 솔로 활동을 선호하는 유저는 참고 (사진: 국민트리 제작)

'길드 던전 1회 참여'도 단골 과제다. 결산 화면만 보면 되므로, 굳이 클리어할 필요는 없다. 길드원과 함께 일정을 맞춰 참여하는 게 중요하다. 아울러 지난 시즌 기준에는 3대 전투력이 850~900 정도인 버서커로 길드 던전에 도전해 보았다. 그 결과 어떻게든 길드 던전 1단계를 솔로 클리어했다. 길드원과 함께하면 더 쉬울테니, 가능한 한 스케줄을 맞춰 높은 단계 보상을 노리자.

Q. 나도 연성으로 이득을 얻고 싶어요.
A. 저레어 장비를 노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구하기 힘든 저레어 장비를 노리는 것도 방법이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 구하기 힘든 저레어 장비를 노리는 것도 방법이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연성 기능이 레이븐2에 정착한 지 많은 시간이 지났다. 희귀 등급 이상인 장비나 재창조의 구슬을 여러 개 준비하고, 새로운 아이템을 얻는 기능이다. 랭커 유저들도 전설 장비 획득을 위해 사용 중이며, 근래 이벤트에서는 좋은 장비가 나올 확률을 높이는 아이템도 제공한 바 있다. 혼돈의 탑을 꾸준히 플레이하는 유저는 시즌마다 안정적으로 재료를 수급 가능하다. 원하는 고점 장비를 얻기 힘든 점이 아쉬운 부분인데, 역발상으로 이득을 누리는 방법이 있다. 얻기 힘든 저레어 장비를 노리는 것이다. 

목표는 제작 재료를 마련하기 힘들거나 안전하게 파밍하기 힘든 일반~희귀 장비다. 비록 저레어 아이템이지만, 이런 장비도 아이템 컬렉션에 등록하는 것으로 성장의 발판이 된다. 더불어 레이븐2는 고레벨 사냥터의 드랍 테이블에 저레어 장비를 넣어두곤 한다. 저스펙 유저는 이런 곳에서 파밍이 힘들기에 연성을 사용한다. 라이트 유저가 어비스 2층에서 자리를 잡고 파밍하는 건 어려운 일이다.

재료로 쓸 희귀 아이템은 혼돈의 주화 상점의 희귀 재창조의 구슬이나 필드에서 주운 희귀 장비 사용을 추천한다. 최소치인 3개만 넣으면서 예견을 돌리고, 원하는 게 나올 시 등장 확률 확인 후 연성한다. 레어도가 낮은 장비는 등장 확률이 높은 점을 역이용하면 OK다. 간혹 운이 나쁘게(?) 희귀 장비가 나왔다? 아이템 컬렉션에 넣거나 다시 연성 재료로 쓰면 된다.

Q. 그럼 희귀 장비와 재창조의 구슬을 모아야겠군!
A. 장비 파밍은 좋지만, 재료 구매&사용은 신중하게 하세요.

희귀 재창조의 구슬보다 먼저 구매할 아이템이 많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 희귀 재창조의 구슬보다 먼저 구매할 아이템이 많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그럼 연성을 위해 필드에서 희귀 장비를 파밍하거나 혼돈의 주화 상점에서 희귀 재창조의 구슬을 풀 매수해야 할 것 같다. 그러나 좋은 선택은 아니다. 먼저 희귀 재창조의 구슬은 우선도가 낮은 상품이다. 가치가 더 높은 상품 '마수의 심장석 조각 - 영웅 헤븐스톤 연마제 - 영웅 재창조의 구슬' 때문으로, 상위 등급 장비 제작·강화·연성에 필요한 아이템이다.

그중 마수의 심장석 조각은 두 시즌 이상 파밍하도록 설계했다. 가령 최상위 영웅 투구 제작에는 마수의 심장석 조각이 20개 필요하다. 레이븐2는 영웅 고점 장비를 꾸준히 추가 중이므로, 꾸준히 마수의 심장석 조각을 모으는 게 좋다. 영웅 재창조의 구슬은 영웅 장비 연성에 도움이 된다. 기자도 꾸준히 파밍 중이며, 덕분에 영웅 장비 제작 비용을 크게 아낀 바 있다. 희귀 재창조의 구슬은 이런 장비를 우선 구매한 뒤 남은 주화로 구매하는 걸 추천한다.

추가로 희귀 장비는 연성보다 거래소 등록을 추천한다. 레이븐2는 1년 이상 서비스했고, 몇몇 서버는 일반, 고급 장비 거래가 많이 줄어든 상태다. 그러나 희귀 장비는 아이템 컬렉션이나 연성, 정예 특무대원의 증표 마련 등 사용할 여지가 많다. 그래서인지 제법 거래가 이루어지는 분위기다. 해당 아이템의 용도나 거래소 인기도를 확인한 뒤 우선순위를 정리하는 게 먼저다.

등록 후 2시간도 안 돼서 팔렸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 등록 후 2시간도 안 돼서 팔렸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김태호 기자 좋은 게임은 즐거운 게임이라고 생각하는 GM 까막입니다. 언제나 게이머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열정적인 모습으로 다가가겠습니다. pestillblood@gamemeca.com
유저리뷰
  • https://bloom97.tistory.com아달2025년 5월 18일
    9
  • 길드 챔피언십 성황리 종료winnerisland2025년 4월 29일
    8
  • 신규 콘텐츠 사역마 각성 추가 예정, 길드 챔피언십 개최돌겜하는꼬마돌2025년 4월 21일
    9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