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의 여신: 니케 PUBLISHER: LEVEL INFINITE

[메카 랭킹] '스노우 화이트' 니케 철갑 솔로 레이드 제패!

/ 1

솔로 레이드는 매달 진행하는 '승리의 여신: 니케'의 메인 콘텐츠입니다. 소장품&애장품, 큐브 강화 재료를 대량으로 수급할 수 있죠. 그리고 이번 솔로 레이드는 정말 오랜만에 등장한 '철갑 약점'입니다. 마지막 철갑 약점 레이드가 2024년 6월, 자그마치 1년 전이죠. 그 여파인지 철갑 니케를 갈고 닦은 최상위권 유저들이 어마어마한 고점을 기록했습니다.

스텔라 블레이드 컬래버레이션 기간에 맞춰 진행한 만큼, 한정 캐릭터들을 핵심으로 사용했습니다. 다만, 순위 변화의 핵심은 승리의 여신: 니케 대미지 고점을 논할 때 항상 언급되는 '스노우 화이트'였죠. 1년 만에 치른 솔로 레이드 관련 조합과 랭커 세팅을 본문에서 확인해 보시죠.

솔로 레이드 TOP 50 랭커 니케 픽률 랭킹

※ 7월 3일~7월 10일 진행한 '솔로 레이드 (프로비던스)' TOP 50 랭커 스쿼드 정보를 기준으로 합니다.
※ 집계 기준은 35억 이상 피해량을 달성한 스쿼드 니케입니다.
※ 현재 랭커덱과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랜만의 철갑 약점으로 맹활약한 니케들 (자료: 국민트리 제작)
▲ 오랜만의 철갑 약점으로 맹활약한 니케들 (자료: 국민트리 제작)

앞서 철갑 약점 솔로 레이드는 1년 만에 개최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번 TOP 50 랭커들의 스쿼드 피해량이 상상을 초월해 집계 기준을 35억까지 올려야 했죠. 평상시 빛을 보지 못했던 여러 니케가 이번 솔로 레이드에서 활약했습니다.

버스트 2 헬름: 아쿠아마린(이하 수헬름)과 로산나: 시크 오션(이하 수산나)가 대표적이죠. 수헬름은 버스트 스킬 쿨타임 감소, 수산나는 지속 대미지 버프를 탑재했습니다. 그동안 두 니케는 자주 활약하지 못했었는데요, 먼저 수헬름은 자주 쓰이는 버스트 1 버퍼 니케들이 버스트 쿨타임 감소를 지녔다는 점이 원인입니다. 우수한 효과지만, 같은 효과를 2개 챙기지는 않는 편이죠. 이에 수헬름이 빠지는 상황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수산나는 버프 수치가 나쁘지 않으나 지속 대미지와 관련한 메인 딜러가 적어 사용처가 적었죠.

이런 두 니케가 활약하게 된 계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헬름은 스노우 화이트, 수산나는 미하라: 본딩 체인과 함께 쓰였습니다. 스노우 화이트 조합엔 애장품 미란다를 투입하는데요, 미란다는 버스트 쿨타임 감소가 없습니다. 수헬름은 이를 보조하는 동시에 본인도 철갑 코드라 서브 딜러로 채택하는 거죠. 여기에 수산나는 힐러 대신 들어가 지속 대미지 강화 요원으로 활약했습니다.

메인 딜러는 라피: 레드 후드(이하 각성 라피), 애장품 헬름, 이브, 맥스웰, 레드 후드, 레이븐, 신데렐라, 스노우 화이트였습니다. 대부분의 피해량은 스노우 화이트와 각성 라피가 속한 스쿼드가 담당했죠. 이번 랭커들의 피해량은 이전 솔로 레이드와 비교하면, 가히 상상을 초월합니다. 그만큼 in 3% 경쟁이 치열했죠. 이번 점수 결과로 스노우 화이트의 위상이 더 높아질 것 같습니다.

솔로 레이드 1위를 기록한 '윈터' 님의 스쿼드 (자료: 국민트리 제작)
▲ 솔로 레이드 1위를 차지한 '윈터' 님의 스쿼드 (자료: 국민트리 제작)

이번 솔로 레이드 1위를 차지한 윈터 님의 스쿼드입니다. 316억 2,893만 5,137점을 기록했죠. 5개의 스쿼드 중 한 개로 무려 100억을 넘겼습니다. 아울러 스노우 화이트 덱의 피해량도 범상치 않았죠.

주력이었던 1번, 4번 스쿼드를 자세히 살펴보죠. 1번 스노우 화이트 조합은 애장품 미란다, 스노우 화이트, 그레이브, 헬름, 수헬름을 이용했습니다. 메인 딜러 스노우 화이트에게 미란다의 버프를 부여하고, 파츠가 겹치는 타이밍에 발사하는 컨트롤이 필요하죠. 이를 잘 활용해 스쿼드 단독 84억 399만 2,440의 대미지를 달성했습니다. 모든 스쿼드를 통틀어 2위로군요. 수헬름을 채용한 것도 포인트입니다. 미란다는 애장품을 받았으나, 버스트 쿨타임 감소 능력이 없어 원활한 사이클이 돌아가지 않거든요. 이를 보조할 겸, 마침 철갑 코드라 우월 코드가 적용된 서브 딜링도 가능했습니다.

스쿼드 내 피해량 1위를 찍은 4번 스쿼드는 컬래버레이션 캐릭터 이브와 각성 라피, 크라운, 리틀 머메이드, 마스트: 로망틱 메이드(이하 메스트)를 썼습니다. 각성 라피의 유탄과 이브의 활약으로 어마어마한 점수를 달성했죠. 솔로 레이드 집계 이래 단독 스쿼드가 100억 점을 찍는 건 처음 보는군요. 물론, 철갑 코드 니케가 3명이라 다른 스쿼드보다 우월 코드의 영향을 받는 게 작용했겠지만요. 다시금 각성 라피의 핵심 포지션은 버스트 3 메인 딜러라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이브는 이후 철갑 레이드에서 다시 만나볼 수 있을지 기대해 보죠.

스페셜 아레나 랭커 방어덱 니케 픽률 랭킹

※ 7월 2일~7월 15일까지 진행 중인 스페셜 아레나 (서버 230~250) TOP 10~40 랭커 정보를 기준으로 합니다.
※ 기준은 집계 시점 개인이 설정한 ‘방어덱’입니다.
※ 현재 랭커 방어덱과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노아 픽률이 감소하며 유일한 픽률 100% 니케가 된 홍련 (자료: 국민트리 제작)
▲ 노아  감소하며 유일한 픽률 100% 니케가 된 홍련 (자료: 국민트리 제작)

지난 5월 28일 픽률 100% 재진입에 성공했던 노아의 기록이 깨졌습니다. 갑자기 랭커 한 명이 노아를 편성에서 제외했거든요. 이에 홍련만 왕좌에 남게 됐습니다. 갑자기 노아를 제외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지금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시 모습을 감춘 니케가 나왔습니다. 버스트 1에서 엑시아, 버스트 2에선 마키마, 버스트 3은 A2가 없어졌죠. 각각 채용 랭커가 달랐기에 조합 변화를 기대해도 될 것 같습니다. 애장품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 헬름과 드레이크, 라플라스의 픽률 변화는 없었습니다. 잔잔한 바다를 보는 느낌이네요. 일부 유저들은 곧 있으면 신규 애장품이 나올 시기라 추측 중입니다. 이 영향이 일부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시즌 4위를 기록 중인 범구 님의 스쿼드 정보 (자료: 국민트리 제작)
▲ 시즌 4위 랭커 범구 님의 스쿼드 정보 (자료: 국민트리 제작)

이번에 살펴볼 랭커는 시즌 그룹 4위를 유지한 범구 님의 방어덱입니다. 챔피언 아레나에서 자주 보이는 목단·네로 덱을 사용했죠. 최상위권 랭커는 챔피언 아레나와 비슷한 파티를 구성 중입니다.

1번 스쿼드는 수니스 조합입니다. 상위 랭커들이 애용하는 파티죠. 수니스가 메인 딜러이며, 메이든: 아이스 로즈(이하 클이든)을 서브 딜러 겸 전격 코드 강화 버퍼로 넣었습니다. 수니스는 지원형이라 비스킷의 버프를 받아 강력한 화력을 뽐낼 수 있죠.

2번 스쿼드는 홍련 중심입니다. 로산나를 같이 편성해 미러전을 대비했네요. 상대의 버프를 지우고, 아군 사망 시 버스트 게이지를 채워 빠른 버스트를 돕습니다. 트리나 등장 후 안 그래도 강한 홍련이 더 강해진 느낌이 드네요.

3번 스쿼드는 목단·네로 덱입니다. 챔피언 아레나 1군 스쿼드로 유명하죠. 목단과 네로의 체력 증가로 버티며, 반격하는 구성입니다. 본래 라푼젤을 넣어 회복량을 끌어올리는데, 범구 님은 에밀리아를 투입해 버스트 게이지 충전 보조 겸 서브 딜러로 활용했습니다.

솔로 레이드 메타 분석

돌아온 죽창 스노우 화이트

고점 경신의 포인트였던 스노우 화이트 (사진: 국민트리 촬영)
▲ 고점 경신의 포인트였던 스노우 화이트 (사진: 국민트리 촬영)

앞서 소개했지만, 이번 레이드는 스노우 화이트의 성장이 성적에 큰 영향을 줬습니다. 스노우 화이트의 한방 저격을 위해 수많은 재도전이 이어질 정도였죠. 그 대미지는 발당 최대 1억 이상을 산출하기도 했습니다. 물론, 그냥 나오는 피해량은 아닙니다. 스노우 화이트의 스펙이 스쿼드 내에서 최고를 자랑해야 가능한 일이죠.

포인트는 애장품 미란다의 버프를 받을 수 있느냐, 없느냐입니다. 미란다의 버프는 스쿼드 내에서 공격력이 가장 높은 아군 1명에게 부여합니다. 그런데 단순 소장품에서 끝나는 스노우 화이트와 다르게, 애장품까지 받은 헬름이 있어 목표 공격력에 도달하기 힘들죠. 랭커들의 덱을 보고 따라하려던 많은 유저가 이 지점에서 발목이 잡혔습니다. 기자 또한 그랬던지라 랭커 성적의 반도 달성하지 못했죠.

이번 보스는 파츠가 많고, 겹치는 상황이 있어 스노우 화이트에게 유리했습니다. 스노우 화이트의 버스트 스킬에는 '관통' 효과가 있어 몸체가 크거나 겹친 곳을 공격하면 다단 히트로 대미지가 들어가거든요. 지금까지 스노우 화이트는 일부 장인들이 애용하던 니케였지만, 이번 레이드를 통해 죽창의 귀환을 알렸습니다. 다시 있을 철갑 레이드를 대비하실 분들은 스노우 화이트 육성에 힘써보세요.

니케 이슈

니어 복각 챌린지 스테이지를 잊지 마세요

현재 니어 복각에 한해 레드닷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사진: 국민트리 촬영)
▲ 현재 니어 복각에 한해 레드닷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 (사진: 국민트리 촬영)

니어 오토마타 컬래버레이션 복각 이벤트는 참여하고 있나요? 스토리 이벤트는 코어 더스트를 대량으로 습득할 기회라 하루라도 놓칠 시 재화 손실이 큽니다. 승리의 여신: 니케는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레드닷으로 미진행 상태를 알려주죠.

그런데 현재 니어 복각에서 스토리와 챌린지 스테이지의 레드닷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유저에 따라서 이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죠. 현재 공식에서 이를 인지하고, 고칠 예정이라는군요. 관련 현상이 고쳐지기 전까지 매일 스토리 이벤트와 챌린지 스테이지에 참여하세요.

유저 투표 - 지금까지 나온 미니 게임 중 가장 재밌었던 콘텐츠는?

아카이브로 들어오며 더빙이 추가된 미라클 스노우가 1위 (자료: 국민트리 제작)
▲ 아카이브로 들어오며 더빙이 추가된 미라클 스노우가 1위 (자료: 국민트리 제작)

지난주 눈물샘이 고장 났었던 스토리 이벤트를 주제로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1위는 MIRACLE SNOW였습니다. 첫 공개 당시 더빙이 없었으나, 텍스트만으로 유저들의 눈물샘을 자극했었죠. 이후 아카이브에 들어오면서 풀 더빙이 됐는데, 성우들의 열연으로 감정이입이 더 되어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2위는 NEW YEAR, NEW SWORD입니다. 1위와 마찬가지로 추후 더빙이 추가된 사례죠. 홍련의 과거가 공개된 가슴 아픈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3위는 0.5주년 OVER ZONE, 공동 4위에 스텔라 블레이드 컬래버레이션 MEMORIES TELLER, 2주년 OLD TALES, 6위는 1주년 RED ASH였습니다. 스텔라 블레이드를 제외한 모든 스토리는 아카이브에서 감상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승리의 여신: 니케는 스토리 이벤트에 미니 게임이 포함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미니 게임이 퀄리티가 '미니'가 아니라서 화제죠. 이에 유저들은 '빅 게임'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일부 미니 게임은 아케이드 콘텐츠를 통해 지금도 플레이할 수 있죠. 여러분이 기억하는 최고의 미니 게임은 뭐였나요? 투표를 부탁하며, 결과는 다음 주 메카 랭킹에서 공개하겠습니다.


박제성 기자 게임은 최고의 문화다! 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기자. 장르를 가리지 않고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콘텐츠라면 빠르게 뛰어가 취재하겠습니다.
더 많은 승리의 여신: 니케 정보가 궁금하다면?
유저리뷰
  • 그저 빛 밖에 안남은 최고의 자사 콜라보graham16932025년 6월 13일
    10
  • 6월 7일 스텔라 블레이드 콜라보 방송 진행공성관2025년 6월 2일
    10
  • https://bloom97.tistory.com아달2025년 5월 18일
    9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