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 랭킹] 세나 리버스 '플라튼' 군림 후 마법덱 고공 행진
'세븐나이츠 리버스(이하 세나 리버스)' 메카 랭킹 시간입니다. 결투장 메타 선봉으로 군림한 플라튼이 여전히 힘을 과시 중이죠. 메타 굳히기에 들어갈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서 3주 연속 1위 자리를 지켰습니다. 마법덱 기반 플라튼 공격 진형이 유행을 타면서 관련 영웅 픽률 역시 고공 행진을 이어갔고, 다른 파티 조합은 갈수록 픽률이 줄어드는 모양새입니다.
플라튼 마덱 강세 속 떠오르는 '콜트' 픽률

플라튼이 3주 연속 결투장 픽률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번에도 지난주 대비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고, 8.3% 포인트 더 쌓아 픽률 75.7%를 기록했죠. 출시 초반에는 최상위 랭커들만 사용하는 분위기였으나 이젠 마스터 구간에서도 가장 많이 보이는 영웅이 됐습니다. 아울러 플라튼과 꼭 함께 조합하는 바네사·멜키르도 60%를 상회했네요. 기존 조합 선호 영웅이었던 린과 연희는 소폭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언급한 마법형 영웅 대신 플라튼 파티 자리를 꿰찬 건 콜트죠. 처음에는 연희 대신 투입하는 케이스가 많았습니다. 연희의 화력은 강력하지만, 수면과 타격 횟수 외에 별다른 역할이 없는 것이 단점이었죠. 그녀 대신 들어간 콜트는 높은 생존력과 더불어 턴제 버프 감소, 마비 활용을 내세웠습니다. 덕분에 픽률이 18.7% 포인트나 올랐고, 금주 가장 많이 상승한 영웅이 됐죠. 차트의 마법형 영웅 사이에서 홀로 공격형인 모습이 재밌습니다.
참고로 콜트가 활약하는 파티는 플라튼이 다가 아니죠. '루디·카르마' 기반의 방어덱, '파이·태오' 기반의 물공덱 등 기존 파티에서도 픽률이 높은 편입니다. 결투장 한정으로 범용성이 오른 영웅인데요, 비슷한 케이스가 바네사입니다. 그녀 역시 턴제 버프 감소, 석화, 방어력 감소 능력 덕분에 분야를 가리지 않고 널리 쓰이는 픽이죠. 픽률 68% 고공 행진의 비결입니다.
'루·파이크' 합계가 공격 진형 픽률과 정확히 일치


플라튼 메타가 이어지면서 결투장과 펫 픽률 기조도 굳어지는 양상입니다. 공격 진형은 사실상 플라튼 전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금주 5.3% 포인트 추가 지분을 끌어모아서 압도적 1위를 지켰습니다. 밸런스 진형, 보호 진형이 소폭 하락하면서 비율이 비슷해졌죠. 2위와 3위 다툼을 시작한 모양새지만, 순위가 중요해 보이진 않습니다. 현재로썬 공격 진형 외에 큰 의미가 없는 것 같네요.
펫 TOP 5 픽률 순위가 고정된 건 이번 메카 랭킹이 처음입니다. 루와 파이크 양강 구도가 이어졌고, 3위 연지, 4위 이린 비율은 계속 줄어드는 중이죠, 플라튼의 생존과 효과 저항으로 예약 스킬 보호를 위한 파이크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둘을 합치면 61.3% 비율인데요, 공교롭게도 공격 진형 비율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즉, 둘 다 플라튼 덱에서 활용하는 펫이라는 의미죠.
금주의 베스트 픽
원점으로 돌아간 '플라튼' 공격 진형

금주의 베스트 픽은 플라튼 출시 1주차로 돌아간 클래식 마공덱입니다. 멜키르의 마력 역류에 플라튼 고정 피해 효과를 활용하는 기반은 그대로죠. 고정 멤버는 '플라튼 - 멜키르 - 바네사'입니다. 이 셋은 교체 여지없이 꼭 붙어 다니는 필수 조합이며, 나머지 자리에 있는 연희와 린은 결투장 매칭 구간이나 환경에 따라 다른 영웅을 꾀할 수 있죠.
대표적인 영웅이 콜트입니다. 불사 반지가 많은 상대를 만나거나 태오, 쥬리 같은 불사 영웅이 많이 보일 때의 방법이죠. 연희 대신 콜트를 넣어 턴제 버프 감소 비중을 높이는 쪽의 승률이 더 유리합니다. 같은 원리로 방덱 공략에 유리한 유신, 아군 생존력을 보강할 로지, 엘리스, 같은 영웅을 커스텀 할 수 있죠.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마법형 영웅 3명 유지입니다. 마력 역류 발동을 위한 필수 조건이니 주의하세요.
금주의 총력전 픽
최종 라운드 1위 마감 '기츠'

20 라운드 접전 끝에 이번 총력전 시즌이 막을 내렸습니다. 이번에는 '기츠' 님이 1만 6,840점으로 1위 마감했죠. 기츠 님의 마지막 팀 편성은 순서대로 제이브 방덱, 플라튼 마덱, 태오 공덱, 즉사 방덱, 콜트·연희를 내세운 하이브리드덱이었습니다.
이번에도 즉사 방덱이 독특하네요. 총력전 랭커들의 팀 편성을 볼 때마다 해당 콘셉트 파티는 모두 제각각인 점이 재밌습니다. 기츠 님은 니아를 보호 진형 메인 딜러에 앉히고 즉사 요원들을 밖으로 빼 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은 크리스가 니아 위치에 있거나 즉사 반지를 장착한 쥬리가 해당 위치에서 활약하는 편이죠. 니아의 턴제 버프 감소와 상대 스킬 쿨타임 증가를 적극 활용하는 것 같습니다. 아울러 카린을 전방에 배치해 장기전을 꾀한 점도 눈여겨볼 요소죠.
마지막 파티에 있는 밸런스 진형 하이브리드 덱도 특이합니다. 흡혈을 지닌 실베스타를 정면에 두고 콜트와 연희가 메인 딜러 역할을 맡았죠. 유틸 능력이 주력인 바네사와 쥬리가 실베스타 양옆을 보조합니다. 정면에 서 있는 영웅들의 세팅이 궁금해지는 대목인데요, 실베스타의 체력 흡수가 피해량에 비례하기에 공격 세팅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찌 됐든 해당 영웅 조합으로 총력전 1위 마감을 했으니 성능을 증명한 셈이죠.
세븐나이츠 리버스 유저 투표

지난 유저 투표로 새로운 단계가 열린 레이드 3종의 체감 난도를 물었습니다. 참고로 기존 최고 난도인 10단계 기준, 같은 주제의 투표 결과는 강철의 포식자가 1위를 차지했었죠. 해당 결과 덕분에 이번 투표가 더 흥미롭게 다가올 겁니다. 15단계로 확장된 레이드 3종 중 가장 어려운 건 우마왕, 가장 쉬운 건 강철의 포식자라는 결과가 나왔죠. 전자가 가장 어렵다는 응답이 63.9%, 후자는 2.8%에 불과했습니다.
파멸의 눈동자가 어려웠다는 반응도 많았네요. 33.3% 득표하면서 2위를 기록했습니다. 또 시간이 지나면 레이드 3종 모두 손쉽게 공략하는 날이 오겠죠?

다음 유저 투표는 개발자 노트 공개 사항을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개발자 노트 22편에서는 다가올 업데이트와 향후 10월 업데이트 사항이 가득 담겨있었죠. 신규 콘텐츠 '강림 원정대'와 더불어 각종 콘텐츠 편의 개선 사항이 많았습니다. 여기서 예고한 사항 중 모험가 여러분이 가장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투표에 많은 참여를 바라며, 결과는 다음 주 메카 랭킹 시간에 공개하겠습니다.


-
태.오.조.아볼카노스2025년 6월 2일9
-
5월 29일 첫 정식 업데이트 진행도박조아2025년 5월 28일9
-
옛날 감성 4스푼, 신규 4스푼, 고집 2스푼낫포세일2025년 5월 26일10
- 1뱀피르
- 21ROBLOX
- 31마비노기 모바일
- 4열혈강호: 귀환
- 52세븐나이츠 리버스
- 61리니지M
- 71전략적 팀 전투
- 81오딘: 발할라 라이징
- 91승리의 여신: 니케
- 101신월동행
-
킹 오브 파이터 AFKNetmarble
-
뱀피르Netmarble
-
세븐나이츠 리버스Netmarble
-
레이븐2Netmarble
-
승리의 여신: 니케Level Infinite
-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Netmar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