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븐2 PUBLISHER: NETMARBLE

[레이븐2 꿀팁] 라이트 유저의 장비 선택·성장통 극복 노하우

/ 1

이번 '레이븐2' 꿀팁의 주제는 라이트 유저의 장비 선택이다. 공커 위클리를 연재하며 꾸준히 공식 커뮤니티를 관찰한 결과, 관련 질문 빈도가 높았다. 마침 신규 지역 알테이아도 업데이트했으니, 추천 장비를 한 번 정리할 때가 왔다고 판단했다. 추가로 성장 중 벽에 부딪힌 유저를 위한 팁도 정리했다. 본문을 통해 확인하자.

PVE 유저입니다, 영웅 장비는 뭘 고를까요?

서리 vs 파멸 무기, 공식 커뮤니티에 꾸준히 등장하는 단골 질문이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 서리 vs 파멸 무기, 공식 커뮤니티에 꾸준히 등장하는 단골 질문이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먼저 레이븐2 공식 커뮤니티에 자주 등장하는 질문이다. PVE 유저들이 영웅 무기 선정 고민 상담을 한다. 선택지는 제작 무기 중 가장 티어가 높은 서리와 파멸 무기다. 영웅 무기 제작 도안이 2장 필요하고, 제작 재료가 상당 부분 겹친다. 둘 가운데 우선도가 높은 건 서리 무기다. 일반 몬스터 피해 버프와 최종 피해 증폭 효과를 지녔기 때문이다. PVE 중심 유저라면 많은 시간을 사냥에 투자하고, 이때 상대하는 건 일반 몬스터란 점이 요인이다.

다만, 나이트레인저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 나이트레인저 유저에게는 반대로 파멸 무기를 추천하는 유저가 많다. 스킬 구성이 원인인데, 고급 스킬 샤프 애로우로 치명타 피해, 호크 아이로 치명타 확률 버프를 얻는다. 고급 스킬북은 라이트 유저도 쉽게 마련할 수 있다. 이에 파멸 무기의 치명타 확률, 치명타 피해 증폭 옵션과 시너지 효과를 노린 설계다.

치명타 버프를 2개 지녀, 파멸 무기로 연결하는 걸 추천하는 양상 (사진: 국민트리 제작)
▲ 치명타 버프를 2개 지녀, 파멸 무기로 연결하는 걸 추천하는 양상 (사진: 국민트리 제작)

이런 장비 선택 기준은 다른 장비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레이븐2는 같은 등급 장비 내에 티어를 가르고, 티어마다 장비를 3개 정도 배치했다. 콘텐츠나 직업의 근거리/원거리/마법 속성에 따라 장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전자의 경우 앞선 무기 선택과 비슷한 맥락으로 고르면 된다. PVE 유저라면, 일단 '일반 몬스터 ○○' 옵션부터 확인하자. 이후 스킬 구성이나 많이 투자한 스탯에 따라 옵션을 고르면 된다. 

겸사겸사 영웅 장비를 하나 더 짚고 넘어가자. 혼돈의 탑 업데이트 후 '정예 특무대원의 목걸이' 평가가 올랐다. 착용 시 '최대 HP - 방어력 - 피해 감소 - MP 회복' 옵션을 누린다. +2 달성 시 직업에 따른 명중 스탯을 추가 획득한다. 재평가의 배경은 상위 영웅 목걸이의 옵션과 가성비다. '최대 HP - 방어력 - 피해 감소 - 직업 치명타 확률 - 처형시 경험치 보너스'를 제공한다.

마침 알테이아 업데이트로 정예 특무대 장신구 획득 기회가 생겼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 마침 알테이아 업데이트로 정예 특무대 장신구 획득 기회가 생겼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혼돈의 탑을 등반할 때 처형 시 경험치 보너스는 유효 옵션이 아니다. 혼돈의 탑은 경험치를 파밍하러 가는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 비교 대상은 공통 옵션 3개의 수치 차와 치명타 확률인데, 여기서 가성비가 평가를 가른다. 목걸이는 1개만 착용할 수 있고, 정예 특무대원의 목걸이로도 방어 옵션 3개를 챙긴다. 게다가 장신구는 여러 벌 마련해야 한다. 이렇게 아낀 재료를 다른 영웅 장신구로 돌려 세팅 저점을 높인다.

마침 알테이아 업데이트로 정예 특무대원의 목걸이 가성비가 조금 더 올랐다. 알테이아 지역 도감 100%를 달성하면, 탐험 보상으로 정예 특무대 장신구 증표를 1개 지급한다. 만약 획득했고 혼돈의 탑을 등반 중이라면, 이걸로 정예 특무대원의 목걸이나 허리띠를 마련하길 추천한다. 혼돈의 탑은 회복 물약을 복용할 수 없어 생존력 확보가 어렵다. 생존에 기여하고, 유효 옵션이 많은 두 장신구의 우선도가 높다.

장비 제작 재료, 아끼는 게 능사는 아니다

쓸 건 써야 성장하는 법이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 쓸건 써야 성장하는 법이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레이븐2의 제작 필수 재료로 '철 - 천 - 목재 - 가죽 - 보석'이 있다. 던전을 제외한 대부분 사냥터에서 해당 재료를 드랍한다. 육성 중 벽을 마주하면, 파밍과 성장에 투자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흔히 말하는 주차 구간이다. 이 과정에서 필수 제작 재료도 쌓이기에 마련이다. 이런 상황을 직면했을 때 제작 재료를 무조건 아끼는 건 좋은 선택이 아니다. 착용할 장비가 아니더라도 쓸건 써야 주차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주차 구간 중 제작 재료를 투자할 곳은 고급, 희귀 장비 제작이다. 목표는 아이템 컬렉션이다. 아이템 컬렉션은 스펙 내실 다지기의 핵심 콘텐츠이며, 달성률은 '내가 이 정도로 캐릭터 육성에 정성을 들였다'라는 지표다. 비슷한 맥락으로 육성 중 막혔다고 질문할 때 '아이템 컬렉션은 얼마나 달성했나요?'라고 되묻는 이가 많다.

제작 재료가 아깝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투자하는 게 장기적으로 이득이다. 영웅 장비는 착용 시 스펙을 크게 높이지만, 마련할 때까지 많은 시간이 들어간다. 제작 필수 재료를 많이 소모하지만, 이건 원래 많이 파밍해서 많이 소모하는 아이템이다. 무엇보다 현재 레이븐2는 제작 필수 재료 매물이 많이 풀려 시세도 저렴하다. 

옛날 생각을 하면, 참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 옛날 생각을 하면, 참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사진: 국민트리 촬영)

제작한 고급, 희귀 장비는 아이템 컬렉션 달성에 투자한다. 영웅 장비와 비교해 성장 폭은 좁을지언정, 스펙 저점을 높여 주차 구간을 줄이는 데에는 더 효율적이다. 저점 상승은 메인 퀘스트 진행을 통한 레벨 업, 사냥터 선택지 증가, 혼돈의 탑 등반 등 레이븐2 콘텐츠 곳곳에 기여한다. 영웅 장비 제작에 필요한 몫은 추후 영웅 제작 도안과 재료를 모은 뒤 시작해도 늦지 않다.

이 과정에서 걸리는 요소는 따로 있다. 아이템 컬렉션 소재 강화에 필요한 강화석이다. 강화석은 매일 상점에서 상품을 보충하며, 각종 이벤트로 꾸준히 배포한다. 놓치지 말고 꼬박꼬박 챙기는 걸 추천한다. 아무리 많이 모아도, '아이템 컬렉션 작업 한 번 해볼까?'라고 생각하는 순간 눈 녹듯 사라지는 아이템이다. 다다익선이다.

라이트 유저의 희귀 장비, 무리해서 바꿀 필요는 적다

희귀 장비 고점이 오르긴 했는데, 이게 참 애매하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 희귀 장비 고점이 오르긴 했는데, 이게 참 애매하다 (사진: 국민트리 제작)

레이븐2는 꾸준히 정예 특무대원 장비를 업데이트 중이다. 덕분에 영웅 장비 접근성이 올랐다. 이때 희귀 장비를 일정 수준 강화하고, 분해해서 얻은 '정예 특무대 ○○ 증표 조각'이 필요하다. 그런데 분해 조건을 달성하려면, 희귀 장비를 안전 단계 이상 강화해야 한다. 파밍, 강화 운이 나쁠 시 희귀 장비 졸업에 차질이 생긴다. 

이런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은 희귀 등급 고점 장비 채용이다. 기존에는 시너림에서 드랍하는 마법 호수 장비의 스펙이 가장 우수했다. 이후 알테이아 업데이트로 조금 더 스펙이 높은 장비가 등장했다. 자연스레 '새 장비를 구할까?'라는 생각이 들텐데, 애써 투자할 정도는 아니다. 

첫 번째 이유는 스펙이다. 비교 대상은 시너림에서 드랍하는 희귀 장비다. 알테이아 장비의 스탯이 조금 더 높은 건 사실이지만, 기존 장비를 완전히 대체할 만큼 격차가 큰 건 아니다. 장단점이 있는 상호 호환 장비로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 

두 번째 이유는 매물이다. 희귀 장비를 착용하는 유저는 알테이아에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거래소에서 매물을 구해야 하는데, 아이템 공급을 고스펙 유저에게 의존한다. 그마저도 매물이 올라오지 않으면, 장비를 구매할 수 없다. 두 가지 이유를 종합하면, 이미 매물이 많이 풀린 시너림 지역 희귀 장비를 두고, 알테이아 장비 매물 등록을 기다릴 이유가 적다. 착용과 분해 어느 쪽이 목적이든 간에 지금은 시너림 희귀 장비를 구매, 착용하는 게 효율적이다.

김태호 기자 좋은 게임은 즐거운 게임이라고 생각하는 GM 까막입니다. 언제나 게이머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열정적인 모습으로 다가가겠습니다.
더 많은 레이븐2 정보가 궁금하다면?
유저리뷰
  • 신규 지역 알테이아 추가로 이야기가 이어진다kor-khjahm2025년 1월 31일
    9
  • 아시아권 외국 유저와 함께 플레이가 가능한 특이한 서버 구성도박조아2025년 1월 7일
    8
  • 글로벌 통합 서버로 순항 중elecnox2024년 11월 25일
    9